Surprise Me!

[뉴스특보] 중대본 "사망·실종 50명"…전국 1만2천명 대피

2023-07-17 0 Dailymotion

[뉴스특보] 중대본 "사망·실종 50명"…전국 1만2천명 대피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기록적인 폭우로 현재까지 50명이 숨지거나 실종됐습니다.<br /><br />주택 파손과 농경지 침수 등 재산 피해도 불어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취재기자와 함께 전국 피해 상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스튜디오에 사회부 김예림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장맛비로 인명 피해가 특히 심각합니다.<br /><br />현재까지 집계된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, 오늘 오전 6시 기준, 이번 폭우로 지금까지 41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.<br /><br />어제저녁, 충북 오송 궁평지하차도 침수 현장 인근에서 60대 여성 시신 1구가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이 여성은 경찰에 실종 신고가 접수된 12명 가운데 마지막 1명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마지막 실종자가 발견되면서 지하차도 침수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총 14명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당국은 지하차도 인근을 추가 수색하는 한편, 사고 원인을 분석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장맛비로 인한 인명 피해는 주로 경북과 충북 지역에 집중됐습니다.<br /><br />충북에선 지하차도 침수 사고 외에 추가로 나온 사망자를 포함하면 현재까지 17명이 숨졌습니다.<br /><br />산사태로 인한 피해가 무척 컸던 경북에선 19명이 이번 폭우로 목숨을 잃었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 충남에서 4명, 세종에서 1명이 이번 집중호우로 인해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직 실종자 수색이 계속되고 있는 곳도 있죠.<br /><br />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오전 6시 기준, 공식 집계된 실종자는 부산 1명, 경북 8명 등 총 9명입니다.<br /><br />경북지역 실종자 모두 예천 주민인데, 아직 생사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산사태 피해 지역이다 보니 토사로 인해 수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어제도 하루 종일 대규모 실종자 수색이 진행됐지만,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도 구조 작업이 계속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충청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또다시 많은 비가 예보되면서 산사태가 추가 발생할 위험도 적지 않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오전 6시 기준 산사태 경보가 내려진 곳은 17곳, 주의보가 내려진 곳은 78곳입니다.<br /><br />토양에 물을 머금고 있는 비율이 80% 이상이면 주의보가, 100% 이상일 때 경보가 발령되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충청지역 대부분에 경보나 주의보가 발령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경사면에서 물이 솟구치거나, 바람이 불지 않았는데도 나뭇가지가 흔들린다면 산사태를 의심해야 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까지 사전 대피한 주민들이 1만 명을 넘어섰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재까지 16개 시도에서 8천여 세대, 1만 2천여 명이 집을 떠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이전 집계보다 1,700여 명 늘어난 건데요.<br /><br />이중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주민들이 3,700여 세대, 5,600여 명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이분들은 체육관이나 마을회관 등에 마련된 임시 대피소에서 지내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지역별로 살펴보면 인명 피해가 컸던 지역이죠.<br /><br />경북에서 3천여 명, 충청 지역에서 5천여 명이 대피했습니다.<br /><br />공식 집계된 수치를 보면, 침수된 주택은 전국적으로 274채에 이르는데요.<br /><br />여기에 더해 주택 46채가 일부 또는 전체 파손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유 시설뿐만 아니라, 공공시설과 농작물 피해도 컸다고요.<br /><br />한번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오전 6시 기준, 전국의 공공시설 피해는 912건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이 중 도로 사면이 유실되거나 붕괴된 게 157건, 하천 제방 유실은 159건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농작물 피해도 상당한데요.<br /><br />현재까지 농경지 약 3만 1천ha가 침수나 낙과 피해를 입었습니다.<br /><br />좀 더 직관적으로 설명드리면, 축구장 4만 2천 개를 합친 것보다 넓은 면적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닭과 오리 등 가축 69만 3천 마리가 폐사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현재 교통 통제 상황도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현재 통제 중인 서울 시내 주요 도로는 잠수교가 유일한데요.<br /><br />잠수교에 물은 빠졌지만, 사흘 이상 흙탕물에 잠겨 있었던 터라 도로 정비 작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어서 열차 상황 살펴보면요.<br /><br />코레일은 어제 오후 4시부터 무궁화호 등 일반 열차 운행을 다시 중지했습니다.<br /><br />안전한 운행을 위해 집중 호우로 약해진 지반을 재점검하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대구·동해선은 계획대로 운행됩니다.<br /><br />KTX는 경부선과 호남선, 전라선 등은 운행 중이지만, 서행으로 지연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코레일 앱과 홈페이지를 통해 실시간 열차 운행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여기서 조회되지 않는 열차는 현재 운행이 중지된 열차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네, 지금까지 사회부 김예림 기자였습니다. (l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